Windows 8.1 을 사용하고 있다.

Ubuntu를 듀얼로 깔고 싶어서

1. Ubuntu 한국 커뮤니티 설치 Q&A

2. Googling 시도

결국 Windows를 엎고 Ubuntu 부팅도 안되고 Googling으로 결국 확실한 방법 알아냈고 성공했다.

 

Windows 8.1에 Ubuntu 깔고 싶은 사람들 따라하기 바란다.

( Windows 8.1, 메인보드, 컴퓨터 등등에 따라서 부팅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BIOS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disable Secure Boot and Quick Boot 설정을 끄라는데 안 껐다.

  Windows 8.1에 SSD는 빨라야 제맛인데 그걸 끄라니)

 

1. 내 컴퓨터를 키면 위에 메뉴에 뜨는 컴퓨터 관리를 누른다.

 

 

 

 

 

2. 왼쪽 메뉴의 저장소 - 디스크 관리를 선택한다.

   오른쪽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분할 이미지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 볼륨 축소

   ★볼륨 축소 크기는 우분투 (Ubuntu) 설치를 원하는 크기 만큼 한다.

 

 

 

 

 

3. Ubuntu ( http://www.ubuntu.com/ ) 에 들어가서 Download -> Desktop

   64-bit Ubuntu 12.04 LTS 를 다운받는다.

   Server가 아닌 Desktop으로 받는다 일반 개발자들은

   내 컴퓨터 (내 PC) - 속성 에서 자신의 컴퓨터가 64 bit이면 64-bit를 받는다

     잘 모르겠으면 32 bit 받는다. 32 bit 형식은 32bit 컴이든 64bit 컴이든 다 돌아간다.

     성능이 안 좋지 않을까? 느낄 수 없다. 사람은 둔하다.

     컴퓨터 게임 최소 사양과 자신의 컴퓨터 최대 운용 사양 비교할 때 아니면 이런거 비교하지마라.

     그 정도 차이 잡아 낼 정도 개발자의 환경이라면 우분투 설치하는 이 글 보고 있지 않다.

   ★갈 길이 멀다. 일반 개발자라면 내 추천 그대로 가자.

 

 

 

 

 

 

 

 

4. Ubuntu ISO 파일로 설치 USB를 만들자

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에 들어가서

설치 USB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자.

 

 

 

 

 

Step 1에서 Ubuntu 잘 선택해준다. Ver이 적혀 있으면 12.04 LTS 선택 해 준다.

Step 2에서 다운받은 ISO 파일을 Browse로 선택하여 준다.

Step 3에서 USB Drive 선택 해 준다. Format 옵션 선택해주고

Step 4에서 512mb 선택 해 준다.

 

 ★ SanDisk USB를 쓰는 사람들은 부팅 디스크를 만들 수 없다.

 (대부분 Sandisk USB가 대용량 저장 장치로 인식)

 Booting을 위해서는 CD 영역으로 설정을 해줄 필요가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추후 posting. (Ubuntu에서 한방에 해결 가능)

  이 문제에 걸리는 사람은 구글에 'usb cd영역 만들기'라고 검색어를 넣으면 방법이 나온다.

 

5. 재부팅한다.

 여기서 Ubuntu를 설치하는데 

 

 

 

 

 Install Ubuntu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Try Ubuntu without installing을 선택한다.

거기서 배경화면에 있는 install Ubuntu 12.04 LTS 를 눌러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렇게 해야 기본적으로 Ubuntu에 깔려있는 파이어폭스(이하 파폭)을 이용해 설치 시 의문이 가는 점을 찾아보면서 정상적인 설치를 할 수 있다.

 

 

 

 

 

 

 ★ Windows 8.1에 SSD 등을 쓰면 설치할 때 WIndows가 발견되지 않아서

     파티션을 날리거나 설치를 중도에 포기한 분들이 많을 것이다.

     Try Ubuntu without installing을 선택하여 Ubuntu로 부팅한 후,  간단한 Ubuntu Util 하나를 깔아서

     파티션을 인식시키면 게임 끝. (Secure Boot를 끌 필요 전혀 없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gptfdisk/files/gptfdisk/0.8.8/fixparts-binaries/

 

 SSD라 안되고, UEFI 때문에 안되는 것만은 아니다.

위의 싸이트를 통해 FixParts를다운받아서 설치한다면 문제가 해결될것이다.

 

 ★ 추천하는 방법은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검색하면 GPT fdisk 라고 검색될 것이다.

             그것만 설치한다면 윈도우가 인식 될 것이다.

 

 

 ★ 그 다음에 부팅을 위해서 할 일은 

 

1. 우분투로 부팅 하기

 

2. 터미널을 켜서

 

 

 $ sudo add-apt-repository ppa:yannubuntu/boot-repair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boot-repair -y

 

을 순서대로 입력하여 Boot-Repair를 설치한다

 

다음

 

 $ sudo boot-repair 

 

를 치면

 

 

 

 

 

 

Recommende repair를 누르게 되면 grub 부팅 완료!

 

 

다음으로 부팅 순서를 정해주기 위해서 할 일이다.

 

1. 우분투로 부팅 하기

 

2. 터미널을 켜서

 

 sudo vi /etc/default/grub

 

3. default로 부팅 순서를 정해준다. default 0 일 경우, 부팅 목록의 첫번째 옵션으로 부팅이 된다.

   부팅 순서는 부팅을 하면 확인할 수 있다.

 

 default     0

 

4. timeout 설정은 부팅 목록을 선택하지 않고 가만히 있을 경우 자동 default 부팅을 하게 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timeout     10 

 

5. 마지막으로 grub 파일 업데이트를 해주면 완료.

 

 $ sudo update-grub 

 



 

 

 

 

 

   1. Ubuntu ( http://www.ubuntu.com/ ) 에 들어가서 Download -> Desktop

   64-bit Ubuntu 12.04 LTS 를 다운받는다.

   Server가 아닌 Desktop으로 받는다 일반 개발자들은

   내 컴퓨터 (내 PC) - 속성 에서 자신의 컴퓨터가 64 bit이면 64-bit를 받는다

     잘 모르겠으면 32 bit 받는다. 32 bit 형식은 32bit 컴이든 64bit 컴이든 다 돌아간다.

     성능이 안 좋지 않을까? 느낄 수 없다. 사람은 둔하다.

     컴퓨터 게임 최소 사양과 자신의 컴퓨터 최대 운용 사양 비교할 때 아니면 이런거 비교하지마라.

     그 정도 차이 잡아 낼 정도 개발자의 환경이라면 우분투 설치하는 이 글 보고 있지 않다.

   ★갈 길이 멀다. 일반 개발자라면 내 추천 그대로 가자.

 

 

 

 

 

 

 

 

2. Ubuntu ISO 파일로 설치 USB를 만들자

http://www.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 에 들어가서

설치 USB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자.

 

 

 

 

 

Step 1에서 Ubuntu 잘 선택해준다. Ver이 적혀 있으면 12.04 LTS 선택 해 준다.

Step 2에서 다운받은 ISO 파일을 Browse로 선택하여 준다.

Step 3에서 USB Drive 선택 해 준다. Format 옵션 선택해주고

Step 4에서 512mb 선택 해 준다.

 

 ★ SanDisk USB를 쓰는 사람들은 부팅 디스크를 만들 수 없다.

 (대부분 Sandisk USB가 대용량 저장 장치로 인식)

 Booting을 위해서는 CD 영역으로 설정을 해줄 필요가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추후 posting. (Ubuntu에서 한방에 해결 가능)

  이 문제에 걸리는 사람은 구글에 'usb cd영역 만들기'라고 검색어를 넣으면 방법이 나온다.

 

3. 재부팅한다.

 여기서 Ubuntu를 설치하는데 

 

 

 

 

 Install Ubuntu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Try Ubuntu without installing을 선택한다.

거기서 배경화면에 있는 install Ubuntu 12.04 LTS 를 눌러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렇게 해야 기본적으로 Ubuntu에 깔려있는 파이어폭스(이하 파폭)을 이용해 설치 시 의문이 가는 점을 찾아보면서 정상적인 설치를 할 수 있다.

 

 

 

 

 

 

 ★ Windows 8.1에 SSD 등을 쓰면 설치할 때 WIndows가 발견되지 않아서

     파티션을 날리거나 설치를 중도에 포기한 분들이 많을 것이다.

     Try Ubuntu without installing을 선택하여 Ubuntu로 부팅한 후,  간단한 Ubuntu Util 하나를 깔아서

     파티션을 인식시키면 게임 끝. (Secure Boot를 끌 필요 전혀 없다.)

 

우분투 설치 시, OS (windows)가 인식이 안될 때

 

https://silkyshirts.tistory.com/31

 

 

우분투 부팅 순서 간단히 정해주기

 

▶ http://silkyshirts.tistory.com/29

 

Windows 8.1 에 Ubuntu 깔기, A to Z (각종 문제 해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3

 

 

GRUB 부팅 복구 아주 간단하게 하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0

 

 

 

 

 

  http://sourceforge.net/projects/gptfdisk/files/gptfdisk/0.8.8/fixparts-binaries/

 

         SSD라 안되고, UEFI 때문에 안되는 것만은 아니다.

           위의 싸이트를 통해 FixParts를다운받아서 설치한다면 문제가 해결될것이다.

 

  추천하는 방법은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검색하면 GPT fdisk 라고 검색될 것이다.

         그것만 설치한다면 윈도우가 인식 될 것이다.

 

 

우분투 부팅 순서 간단히 정해주기

 

▶ http://silkyshirts.tistory.com/29

 

Windows 8.1 에 Ubuntu 깔기, A to Z (각종 문제 해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3

 

 

GRUB 부팅 복구 아주 간단하게 하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0

 

 

Ubuntu 12.04 USB 만들기 및 설치

 

(Sandisk로 부팅 USB 만들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2

 

 

 

각양 각색의 방법으로 GRUB 부팅 복구 방법이 있다.

 

하지만 아래의 방법이 가장 확실하고 빠르게 복구하는 법이다.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알게 된 방법이라서 꼭 추천한다.

 

1. 우분투로 부팅 하기

 

2. 터미널을 켜서

 

 

 $ sudo add-apt-repository ppa:yannubuntu/boot-repair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boot-repair -y

 

을 순서대로 입력하여 Boot-Repair를 설치한다

 

다음

 

 $ sudo boot-repair 

 

를 치면

 

 

 

 

 

 

Recommende repair를 누르게 되면 grub 부팅 완료!

 
 

우분투 부팅 순서 간단히 정해주기

 

▶ http://ingles.tistory.com/8

 

Windows 8.1 에 Ubuntu 깔기, A to Z (각종 문제 해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3

 

 

우분투 설치 시, OS (windows)가 인식이 안될 때

 

▶ https://silkyshirts.tistory.com/31

 

 

우분투 부팅 순서 간단히 정해주기

 

▶ https://silkyshirts.tistory.com/29

 

 

Ubuntu 12.04 USB 만들기 및 설치

 

(Sandisk로 부팅 USB 만들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2

 

 

 

우분투에서 부팅 순서(GRUB)를 정해주기 위해서 할 일은 아주 간단하다.

 

1. 우분투로 부팅 하기

 

2. 터미널을 켜서

 

 sudo vi /etc/default/grub

 

3. default로 부팅 순서를 정해준다. default 0 일 경우, 부팅 목록의 첫번째 옵션으로 부팅이 된다.

   부팅 순서는 부팅을 하면 확인할 수 있다.

 

 default     0

 

4. timeout 설정은 부팅 목록을 선택하지 않고 가만히 있을 경우 자동 default 부팅을 하게 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timeout     10 

 

5. 마지막으로 grub 파일 업데이트를 해주면 완료.

 

 $ sudo update-grub 

 

 

 

Windows 8.1 에 Ubuntu 깔기, A to Z (각종 문제 해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3

 

 

우분투 설치 시, OS (windows)가 인식이 안될 때

 

▶ https://silkyshirts.tistory.com/31

 

 

GRUB 부팅 복구 아주 간단하게 하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0

 

 

Ubuntu 12.04 USB 만들기 및 설치

 

(Sandisk로 부팅 USB 만들기)

 

▶ https://silkyshirts.tistory.com/3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테이블(table)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테이블은 키(key)와 값(value)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이처럼 데이터의 종속성을 관계(relationship)로 표현하는 것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table)은 다음 그림처럼 구성됩니다.

 

테이블 구조

 

테이블은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행(row)과 열(column) 그리고 거기에 대응하는 값을 가집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위와 같이 구성된 테이블이 다른 테이블들과 관계를 맺고 모여있는 집합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데이터의 분류, 정렬, 탐색 속도가 빠릅니다.

2. 오랫동안 사용된 만큼 신뢰성이 높고, 어떤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해 줍니다.

3. 기존에 작성된 스키마를 수정하기가 어렵습니다.

4.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분석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용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관련된 대표적인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열(column)

각각의 열은 유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만의 타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열은 필드(field) 또는 속성(attribute)이라고도 불립니다.

 

2. 행(row)

행은 관계된 데이터의 묶음을 의미합니다.

한 테이블의 모든 행은 같은 수의 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은 튜플(tuple) 또는 레코드(record)라고도 불립니다.

 

3. 값(value)

테이블은 각각의 행과 열에 대응하는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값은 열의 타입에 맞는 값이어야 합니다.

 

4. 키(key)

테이블에서 행의 식별자로 이용되는 열을 키(key) 또는 기본 키(primary key)라고 합니다.

즉, 테이블에 저장된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후보 키(candidate key) 중에서 데이터베이스 설계자가 지정한 속성을 의미합니다.

 

5. 관계(relationship)

테이블 간의 관계는 관계를 맺는 테이블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일대일(one-to-one) 관계

2. 일대다(one-to-many) 관계

3. 다대다(many-to-many) 관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외래 키(foreign key)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외래 키는 한 테이블의 키 중에서 다른 테이블의 행(row)을 식별할 수 있는 키를 의미합니다.

 

테이블 간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테이블 간의 관계

 

6. 스키마(schema)

스키마는 테이블을 디자인하기 위한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키마는 테이블의 각 열에 대한 항목과 타입뿐만 아니라 기본 키와 외래 키도 나타내야 합니다.

 

스키마는 개체-관계 다이어그램(entity-relationship diagram)이나 문자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문법

Reservation(ID, Name, Date, RoomNum)

 

위의 문자열을 개체-관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개체-관계 다이어그램


출처 : http://tcpschool.com/mysql/mysql_intro_relationalDB

'IT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마 종류  (0) 2018.06.2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0) 2018.06.21
[R] 오라클 SQL 관련  (0) 2018.06.21
DBMS 구성요소  (0) 2018.06.21
데이터 모델  (0) 2018.05.01

+ Recent posts